본문 바로가기

Culture&M

문화적 특징이 갖는 의도성

<뉴질랜드 전통 마오리족의 하카. 전투에 출정하기 전에 추는 춤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유튜브 2017 여성월드컵럭비>

1. 다문화를 공부할 , 개인적으로 흥미를 가지가 있다면 하나는 브라질의 인종적 다양성이 무리없이 이뤄진 , 두번째는 바로 영상에서 등장하는 뉴질랜드의 마우이족 문화 흡수다. 남아공에 있을 , 럭비를 자주 보게 되었는데, 월드컵에서 바로 뉴질랜드의 올블랙스팀이 등장하면서 추던 전사의 춤이다. 춤을 보면서 신기했던 것은 백인들과 폴리네시아 또는 섞인 인종들이 한자리에서 검은색 옷을 입고, 동일하게 마우이족의 전사의 춤을 아무 거리낌없이 추더라는 것이다. 당시 짧은 지식으로는 마우이가 백인을 받아준 것이 아니라 점령했던 것으로 이해했고, 당연히 백인의 문화가 현지의 문화를 말살했을 거라는 선입견이 강했다. 그런데 춤은 여러모로 충격이었다. 거기에 더하여 2017 여성 럭비 월드컵에서 이 춤을 추는 것은 바로 "여성(!)"이다.


2. 현재의 문화가 형성되기까지 거쳐왔던 여정들과 문화와 문화들 간의 충돌과 수용, 또는 혼합의 형태들이 사회의 다양한 담론과 감정들 속에서 이뤄졌다. 그러나 그것이 항상 누군가의 의도와 주도함이 반영된 것은 아니었다. 말은 문화라는 것이 어떤 질서를 가진 하지만 유기체처럼 튀는 모습들을 여기저기서 있다. 마치 그것이 우리의 것인 싶었던시월드 사실은 몽골의 유목민의 풍습에서 것으로 당시 고려의 풍습을 덮어버렸다는 것처럼 말이다. 그럼에도 문화는 언제나 긴장을 가지고 있다. 끊임없이 우리는 근원을 묻는데, 묻고 있는 정황과 의도에 따라 우리의 오리진(근원, 정체성) 그에 따라 각색될 밖에 없다. 마우이 전사의 춤이 여성에게 부여된 것은 사회 경쟁체제가 여성에게도 예외가 없으며, 오늘날 성평등의 분위기 속에서 여성들의 역할/가치가 그만큼 높아졌다는 의미로 있다. “너희도 우리를 지키는 마우이전사다.”


3. 어제 어떤 단체에서 MK 캠프를 진행하면서 MK들에게너희들은 특별하다.”라고 계속 강조하더라는 이야기를 부모들과 하게 되었다. 그런데 정작 애들은 특별하고 싶지 않다고.’ 라고 대놓고 이야기하던 상황을 짚어본다.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나아가려는 의지들이 가득했던 1990년대의우리는 있다.”라던지우리는 특별한 민족이라는 개념으로 사람들을 몰아쳤던 시기에 한국 선교사자녀에 관한 정체성, 교육 방향성이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주목한다. 그때 한국 교회들이 무슨 이야기를 했었을까? 이야기의 결과가 30년이 되어가는 오늘에도 일종의 구호처럼 작동하고 있다. 나는 이렇게 읽어내는그 안에 담긴 의도들이 궁금하다. 여전히 말로 아이들에게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가? 아니 그렇게 묻는 오늘의 정황과 의도는 무엇인가? 아니면 이것은 불변의 진리란 말인가?


4. 나는 모든 사람이 특별하다고 믿는다. 그렇기 때문에 모두가 평범하다. 그리고 우리에게 필요한 구호는 개별적 독특함이 함께 살아갈 있는 담론과 실천이다. 그런 부분에서 아쉽게도 한국 선교사자녀의 논의는 세계의 문화적 역동성에 다가설 없다. 그렇기에 모두들 TCK 만족하고 있다. 그래서 나는 TCK 애증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