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ulture&M

선교사 자녀 학비에 대한 고민...

   그동안 한국 선교에 있어서 대부분의 선교비용은 선교사들의 직접적인 선교비용에 집중되어 있었다. 반면에 선교사들의 보건, 교육, 쉼에 대한 투자는 상대적으로 빈약했다. 몇년 전부터 은퇴 선교사에 대한 이슈가 공론화되면서 선교사들에 대한 간접 지원에 대한 이슈들이 올라왔는데 한국 목회자 역시 빈약한 간접 지원 이슈와 맞물려 한국 교회에 짐이 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하지만 실제적인 압박은 은퇴 선교사들의 국내 귀국보다 실제 현장 속에서 활발하게 사역하고 있는 선교사들에게서 오기 시작했다. IMF이후로 한국 사회의 경제적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에 교회의 다양한 사업에도 영향을 미쳤고, 가장 첫번째로 타격을 받은 것이 선교계라고 들었다. 그럼에도 한국 선교의 불은 꺼지지 않았고 오히려 확장되었다. 그렇게 진행될 수 있었던 것은 한국 선교사들이 서구 선교 자원을 활용하는 기술(나쁘게 말하면 무임 승차)이 좋아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특히 선교사자녀를 위한 교육은 더욱 그렇다.

   G단체에서 선교사자녀 정책을 세울때 대학은 국내에서 할 것을 강권했고, 그 덕분에 많은 MK들이 한국에 들어와 적응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무엇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한국에서의 학비와 함께 여러가지로 교회와 국내 기관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최근 G내에서 자녀들이 꼭 한국에 들어와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들이 오고가고 있지만 내부에서는 기존의 정책을 지지하고 있는 분위기라 알고 있다. 이런 정책을 세울 수 있었던 것은 첫째로 MK에 대한 정책을 공식적으로 가지고 있었고, 그것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논의와 고민을 가지고 진행했다는 것이다. 거기에는 정체성과 더불어 선교사들의 멤버케어 영역부터 선교사 재정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영역들을 담겨져 있다. (얼마나 오랜 시간과 에너지가 투자가 되었을까?)
    세르게이 선교사의 글을 볼 때 장학금에 대한 부분은 일차적으로 선교사 개인에게 그 책임을 물을 수 있다. 장기적인 선교 플랜 속에 자녀교육에 대한 부분을 가족과 함께 논의하고 풀어갔는가? 파송교회와 지원교회, 그리고 파송단체와 그 부분들을 나누고 준비하였는가? 두번째로는 선교부의 책임이다. 선교부는 파송 선교사의 멤버케어를 어떻게 하고 있으며, 파송 선교사 자녀들에 대한 정책을 어떻게 수립하고 있는지이다. 세번째로는 한국교회의 책임이다. 파송과 교회 개척에 있어서 많은 제반사항들의 지원이 필요한데 보내는 것에만 집중되어 있었던 과거의 모습을 돌아보고 한국 교회가 세계 교회 속에서의 위치와 역량에 맞는 일들을 국내외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 벌어진 상황을 어떻게 수습해야 할지 생각해 보자. 선교사들이 파송전에 기독교 세계관에 대하여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말하고 싶다. 기독교세계관운동은 조금 복잡한 상황에 놓여 있으니 일반적인 개혁적인 시선에서의 의미로만 여기서 제한한다. 기독교인이라면 기독교 세계관을 가지고 있겠지만 아쉽게도 세상을 바라보는 기독교의 시선은 한국 사회의 담론을 그대로 담고 있다. 그 가운데 교육관은 세상이나 교회나 다를바 없다. 교회 앞에 OO대학 합격 OOO, OOO 플랜카드가 붙은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어디 대학 합격은 하나님 은혜이고, 어디 대학 합격은 그냥~인가? 수능때면 엿붙이고 대학에 붙도록 정안수 떠 놓고 기도하는 이들과 다를 바 없이 교회 역시 수능 특별 기도회가 열린다. 수능전 카운트다운을 외칠 때 새벽기도 역시 그 데이트 날짜와 함께 같이 간다. 세르게이 선교사의 글을 볼 때 현재의 상황을 수습하는 차원에서의 제안을 하고 있다.
   그런데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선교사 스스로 가지고 있는 교육 철학일 것이다. 한국 교회는 최근 국내 교육 체제에 대한 시민운동을 하면서 자정의 노력을 하고 있다. 무엇보다 의식있는 기독인들 사이에 세속적 교육 세계관에 물들어 있는 일류주의가 교회안에 편만하다는 것을 비판하고 있다. 오죽했으면 한국에 가장 큰 종교를 "대학"이라고 표현했겠는가? 이런 비판에 선교사들 역시 자유로울 수 없다. 아이들이 들어갈 대학이 한정되어서 금년에도 특례입학 특별전형으로 들어가지 못한 아이들이 부모 국가로 돌아가는 경우를 보았다. 그 아이는 특정 대학에만 원서를 넣었고 떨어졌다. 특정대학들은 MK와 그 부모들이 크게 선호하고 있는 곳이면서도 한국에서 역시 최고의 선호도를 가진 대학들이라는 것이다. 이들이 거기에 가고 싶은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가 궁금했다. 혹시 선교사들도 학교 간판에 의존하는 세계관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닌가? 참고할 것은 작년에도 국내 대학의 해외특례입학 정원에 지원자들은 미달되었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