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ulture&M

조기 유학의 현실-뉴질랜드 실태, 서울신문에서

한국의 해외 유학 연령이 많이 낮아졌다. IMF 이후 한국 사회의 개방이 급속도로 빨라지고, 한국 교육계 내의 사교육비 증가이후 등장하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하지만 한국 사회에 이미 안착한 성인들 모두가 해외로 이동하는 모험을 하는 대신, 자녀와 아내를 해외로 보내는 형태의 유학이 등장하면서 "기러기가족"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가족유형이 생겼다.

그동안 가족의 최소 구성유형이었던 핵가족이 무너지면서 가족 구성원간의 역할은 전통적 형태로 복귀하였지만 내부 관계의 의사소통은 점점 단절되고 기능화 되면서 많은 문제를 낳게 되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해외에서 적응하는 문제를 너무 쉽게 생각해서 현지 부적응으로 인한 부작용이었다. 또 한국 경제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 성장의 둔화와 경제 충격으로 인해 가족 부양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도 나타났다. 

이런 이유로 인해 재입국하는 아이들도 등장했지만 한국 내에 다시 적응하는 것도 그들에게는 도전이 되었다. 결국 조기유학의 등장으로 인해 한국도 적응하지 못하고, 해외도 적응하지 못하는 문화적 분열현상 속에 방치된 가정들이 늘고 있다. 이번에 뉴질랜드에서 발생된 가족 자살을 경제적인 이유로만 보기 어려운 것도 여기에 있다. 쉽게 평가할 수 없겠지만 현재 조기 유학으로 인해 발생된 일들은 생각보다 많을 것이라 짐작한다.

조기유학은 한국 교육 현실 속에서 본다면 괜찮은 탈출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에 대한 비용뿐만 아니라 아이가 겪게될 트라우마에 대해 미리 준비하는 것과 부모들 역시 겪게될 이슈들을 한번쯤 점검할 수 있는 데모 유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교육"이라는 본질이 영어를 잘하고 해외에서 좋은 대학을 졸업하는 것에 있지 않음을 부모들이 인식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부모들 스스로가 교육의 주체이자 피교육자임을 인식하고 모든 환경 속에서도 배우는 것을 그치지 않는 습관을 가질 때 조금은 더 건강한 교육 환경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더 중요한 것은 부부 사이의 상호 소통이며, 가족 사이의 소통일 것이다. 대부분 교육에 대해 주도권을 부모가 쥐고 있는 현실을 가족으로 전환시키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그 과정도 역시 "의사소통"이며 결정권이 권위로 인한 결정이 아닌 선택의 결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바라기는 이번 사건을 통해서 다른 기러기 가족들에게 있을 그늘들이 양지로 드러나서 치유와 회복이 가능할 수 있도록 돕는 일들이 많아졌으면 좋겠고, 특별히 한인 교회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담프로그램을 제공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