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 제3문화 아이들 중 "TCK 이해"
주요 이야기. 번역이 엉망이어서 집중이 안되더라. (주제보다 어 많이 나온 이야기다.)
정리.
Han. TCK(제3문화 아이들)는 성장기의 상당 부분을 부모들의 문화 밖에서 보내는 사람이다.
제3문화는 고국과도 다르고 체류국과도 다른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어 현지를 배경으로공유하는 것으로, TCK는 어떤 문화에도 온전한 주권을 가지지 못하지만 부모의 문화와 그외의 문화 모두와 관계를 형성한다.
TCK는 다문화적인 환경과 고도로 이동성이 높은 세계에서 자란다. 아동기에 여러 문화권을 넘나드는 생활을 하면서 거주국 사람들과의 외모나 가치가 다르다는 ‘차이’에의 인식이 정체성의 일부가 되기도 하고, 본국에서 보다 특권을 누리는 삶을 살기도 하지만, 어느쪽에도 속하지 않는다고 느끼는 정체성 형성에 혼란을 겪는 공통점들이 있다. 또한 TCK들에게는 본인이 이동하는 것과 주변에 오고 가는 사람들을 포함한 높은 이동성이 있는데, 이동성이 있을 때면 관련된 모든 이들 또한 관여와 결별, 변동, 진입, 재관여의 단계를 거치는 변동을 경험한다.
Wook. 에리카가 경험한 고향에 관한 이야기는 TCK가 겪는 혼란을 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다른 문화와 언어권에서 살게 되면서 자신에게 체득되어진 여러가지 생존의 방법들과 남다른 인식으로 인해 긍정적인 요인들과 부정적인 상황들 나타나게 되었다.
TCK도 언젠가 성인이 되어 독립해야 한다는 사실이 모두에게 주어진 현실이다. 가족과 개인 그리고 문화의 여러 범주내에서 한 인격체로 서가기 위해서 넘어야 할 여러 과제가 있다.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타인에 대한 이해와 포용을 어떻게 이루어 내느냐가 중요하다.
TCK의 정의와 범주가 시간에 따라 재정의 되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의 의미를 포함한다. 첫째 부모와 다른 문화를 가진 범주에 살게 되며 몇 가지 이상의 문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진다. 둘째 외모와 물리적 배경이 다른 속에서 가며 고도의 이동성을 가진다. 셋째로 언젠가 고국에 돌아갈 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갖고 있으며 여러 특혜가운데 살아간다. 넷째 자의든 타의든 타문화권 내에서 자국 문화를 대표하는 위치에 서있게 된다..
감상.
Han. TCK 이해하기를 읽으면서 느낀 것은 TCK가 겪는 상황들은 모두가 다를텐데, 본래의 출신 국가와 거주하게 된 나라가 서로 다를지라도 서로가 이해하는 TCK들의 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 힘들 때에라도 누군가 이해하고 위로하고 다시 격려해 줄 수 있는 존재가 서로에게 있다는 것이 정말 감사한 일이란 생각이 든다. TCK가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이 어려움을 극복해가는 과정이 어떻게 선한 영향력이 되고 축복이 될 수 있을지 궁금해지고, 앞으로 남은 파트들을 더 진지하게 보며 나도 함께 찾아 보아야겠다는 생각도 든다.
Wook. TCK에 속한 이들이 쉽지 않는 상황속에서 생존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밀려왔습니다. 이해는 되면서도 쉽게 다가가기 힘든 존재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삶이기에 주어진 기회에 감사하면 멋진 삶의 예배로 하나님께 드려지리라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정리.
1. MK사역이 가진 위험성은 그들을 너무 특화시키거나 카테고리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MK들이 존재하는 것은 카테고리로 인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존재를 통해 카테고리가 이뤄진 것이다.
그러므로...
2. MK에 대한 특성은 달라질 수 있거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TCK 책 자체가 서구(북미) 중심의 정의와 진술이기 때문에 제 3세계 종족인 한국에게 있어서는 큰 의미에서(처음 정의를 서구에서 내린 입장에서 본다면) TCK 책에서 내린 TCK진술은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세밀한 측면에서 내리는 의미에서는 다른 진술이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ex. 한국 MK 네트워크 속에서 중국 MK들의 소외됨)
3. 한국 사회에 TCK 범주에는 들지 않지만 비슷한 유형의 사람들이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이부분에 있어서는 교회의 책무와 연결되므로 우리가 속해있는 교회 공동체 속에서 실험해 봐야 할 것입니다만 "높은 이동성"에 대한 관점에서 TCK이해는 한국 사회내에 나타난 사회 부적응 또는 일종의 독특한(Unique) 계층을 설명하거나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주요 이야기. 번역이 엉망이어서 집중이 안되더라. (주제보다 어 많이 나온 이야기다.)
정리.
Han. TCK(제3문화 아이들)는 성장기의 상당 부분을 부모들의 문화 밖에서 보내는 사람이다.
제3문화는 고국과도 다르고 체류국과도 다른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어 현지를 배경으로공유하는 것으로, TCK는 어떤 문화에도 온전한 주권을 가지지 못하지만 부모의 문화와 그외의 문화 모두와 관계를 형성한다.
TCK는 다문화적인 환경과 고도로 이동성이 높은 세계에서 자란다. 아동기에 여러 문화권을 넘나드는 생활을 하면서 거주국 사람들과의 외모나 가치가 다르다는 ‘차이’에의 인식이 정체성의 일부가 되기도 하고, 본국에서 보다 특권을 누리는 삶을 살기도 하지만, 어느쪽에도 속하지 않는다고 느끼는 정체성 형성에 혼란을 겪는 공통점들이 있다. 또한 TCK들에게는 본인이 이동하는 것과 주변에 오고 가는 사람들을 포함한 높은 이동성이 있는데, 이동성이 있을 때면 관련된 모든 이들 또한 관여와 결별, 변동, 진입, 재관여의 단계를 거치는 변동을 경험한다.
Wook. 에리카가 경험한 고향에 관한 이야기는 TCK가 겪는 혼란을 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다른 문화와 언어권에서 살게 되면서 자신에게 체득되어진 여러가지 생존의 방법들과 남다른 인식으로 인해 긍정적인 요인들과 부정적인 상황들 나타나게 되었다.
TCK도 언젠가 성인이 되어 독립해야 한다는 사실이 모두에게 주어진 현실이다. 가족과 개인 그리고 문화의 여러 범주내에서 한 인격체로 서가기 위해서 넘어야 할 여러 과제가 있다.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타인에 대한 이해와 포용을 어떻게 이루어 내느냐가 중요하다.
TCK의 정의와 범주가 시간에 따라 재정의 되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의 의미를 포함한다. 첫째 부모와 다른 문화를 가진 범주에 살게 되며 몇 가지 이상의 문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진다. 둘째 외모와 물리적 배경이 다른 속에서 가며 고도의 이동성을 가진다. 셋째로 언젠가 고국에 돌아갈 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갖고 있으며 여러 특혜가운데 살아간다. 넷째 자의든 타의든 타문화권 내에서 자국 문화를 대표하는 위치에 서있게 된다..
감상.
Han. TCK 이해하기를 읽으면서 느낀 것은 TCK가 겪는 상황들은 모두가 다를텐데, 본래의 출신 국가와 거주하게 된 나라가 서로 다를지라도 서로가 이해하는 TCK들의 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 힘들 때에라도 누군가 이해하고 위로하고 다시 격려해 줄 수 있는 존재가 서로에게 있다는 것이 정말 감사한 일이란 생각이 든다. TCK가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이 어려움을 극복해가는 과정이 어떻게 선한 영향력이 되고 축복이 될 수 있을지 궁금해지고, 앞으로 남은 파트들을 더 진지하게 보며 나도 함께 찾아 보아야겠다는 생각도 든다.
Wook. TCK에 속한 이들이 쉽지 않는 상황속에서 생존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밀려왔습니다. 이해는 되면서도 쉽게 다가가기 힘든 존재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삶이기에 주어진 기회에 감사하면 멋진 삶의 예배로 하나님께 드려지리라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정리.
1. MK사역이 가진 위험성은 그들을 너무 특화시키거나 카테고리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MK들이 존재하는 것은 카테고리로 인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존재를 통해 카테고리가 이뤄진 것이다.
그러므로...
2. MK에 대한 특성은 달라질 수 있거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TCK 책 자체가 서구(북미) 중심의 정의와 진술이기 때문에 제 3세계 종족인 한국에게 있어서는 큰 의미에서(처음 정의를 서구에서 내린 입장에서 본다면) TCK 책에서 내린 TCK진술은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세밀한 측면에서 내리는 의미에서는 다른 진술이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ex. 한국 MK 네트워크 속에서 중국 MK들의 소외됨)
3. 한국 사회에 TCK 범주에는 들지 않지만 비슷한 유형의 사람들이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이부분에 있어서는 교회의 책무와 연결되므로 우리가 속해있는 교회 공동체 속에서 실험해 봐야 할 것입니다만 "높은 이동성"에 대한 관점에서 TCK이해는 한국 사회내에 나타난 사회 부적응 또는 일종의 독특한(Unique) 계층을 설명하거나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Cultur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독교에서 말하는 화해(용서)의 진정성을 그는 알고 있는가? (0) | 2011.12.30 |
---|---|
어학특기자 전형으로 대입 틈새 뚫었죠. TCK 대학입시 (0) | 2011.12.12 |
제 1회 둥지아카데미가 시작되다. (0) | 2011.09.30 |
드디어 시작이다. 둥지아카데미 1기 (0) | 2011.09.28 |
시스템에 매몰된 인간, 믿음 (0) | 2011.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