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du in Diversity

국제결혼 속에서. 한국적이란 건 뭘까?

유튜브에서 가끔 만나는 체널들, 이것 말고도 많이 넘친다.

유튜브에 일상의 영상들이 꽤 많이 올라온다. 일상의 삶을 소재로 하기 위해서는 보통의 가정보다는 주로 귀농, 또는 해외에서의 삶이나 여행 정도 일듯 싶고. 그 가운데 국제결혼 케이스들이 있는데, 데이트 과정이나, 결혼, 그리고 출산 후의 육아를 포함한 일상들이 자주 보인다. 그만큼 한국 사회가 다양성에 노출되어 있다는 의미일 것이고, 삶의 물리적 영역도 한반도를 넘어 전 세계에로의 연결된 삶이다. 

여기서 "한국적"이라는 의미가 다양하게 소통되는데, 한국 문화를 그대로 현지로 이식한 형태의 것, 현지 문화과 결합된 한국 문화의 결과, 한국 문화에 결합된 현지 문화, 그리고 현지 문화에서 살아가는 한국인의 삶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구분하면, 가정의 방향이나 자녀 양육에 있어서의 어떤 그림을 그릴 때 좀 더 명확하게 이야기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다. 왜냐 하면 각 가정마다 그 구성이나 환경에 따라 중첩되는 지점들이 자주 보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본인의 배경이 현지 문화와 어떤 형태로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따라 한국 문화와의 관계가 다를 수 있으며, 동시에 배우자의 배경도 한국 문화와 맺는 관계들이 다를 수 밖에 없다. 예를 들면, 한국에서 유학온 배우자를 만나는 경우, 현지로 유학가서 현지의 배우자를 만나는 경우, 둘 다 제 3국에서 만났을 경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그러나 거기서도 본인이 한국에서 생활한 시간이 전혀 없는 배경에서 한국인의 국적을 가질 수 있고, 반대로 배우자의 배경이 어려서부터 한국을 잘 아는 사람일 수도 있다. 이런 문화적 차이를 구분해서 조합을 생각하면 수백 수천 경우의 수가 생겨날 수 있다. 

게다가 애초부터 '한국적'이란 것이 무엇이며, '한국적'이라는 것은 어떤 고정된 형태의 무언가인지, 유동적인 것인지를 구분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한국인들에게는 '조국'이라는 그 무언가에 대한 깊은 향수가 묻어 있다. 심지어 이를 유전자적인 것으로 보는 이들도 있다. 

'제 3문화'라는 개념이 등장한지 70년이 흘렀지만, 우리는 그것을 정확하게 정의하는 것에 실패하고 있다.(하지만 흥미롭게도 제3문화를 자신의 정체성으로 삼는 이들은 여전히 많다.) 왜냐하면 모국이라는 단어 뿐만 아니라, '문화'라는 단어가 갖는 의미가 고형적이지 않고 유동적이며, 상황에 따라 개념이 달라질 수 있는 용어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설명하려는 이들은 너무나도 많다. 테드워드가 '미래 사회 시민의 원조'라고 정의한 것은 현대 사회의 이동성과 경계 너머의 삶을 공유한다는 측면에서 유효한 면이 있다. 그러나 동시에 그 개념 자체가 도시에서 국가로 넘어가며 명확한 경계성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설명하는 근대성 아래에서 등장했기 때문에 폐기될 수 밖에 없는 숙명을 가지고 있다. 제 3문화는 국가, 인종, 민족의 경계성이 견고하게 있는 상황에서만 유효한 개념이라고 생각하지는 못할까? 다시 이야기하면 이미 인종, 국가, 민족의 경계성이 모호한 존재들이 등장하면서, 모국와 현지라는 이분법적 분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 3문화는 존재할 수 없는 거 아닐까? 어쩌면 관찰자로서 제 3문화에 대한 내 개인의 관점에서 비롯된 의문과 주제일지 모르겠다. 

그럼에도 여전히 민족, 모국에 대한 애착이 존재하는 걸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모호함 속에서 여전히 존재하는 모국이라는 건 무얼까? 국제 결혼에서 태어난 아이의 모국은 엄마로 부터인가? 아빠로 부터인가? 이런 계약적 측면에서 모국이 발생할까? 아니면 부모의 관계에서 지배적인 문화에 의존하는 걸까? 이에 대해 현상은 각 가정마다 다르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정의하려는 모국은 연구자/정의자의 목적에서 비롯된 거 아닐까? 존재하는 하면서도 잡을 없는 개념들 속에서 용어는 각자의 의도대로 사용하고, 그것은 오해를 일으키며, 특정인들의 의도 속에 이용되는 정치적인 용도로도 사용되어간다. 사회학을 공부하면서 이런 이야기들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모르겠다. 다만 특정 계층을 만나고, 그들과 이야기할 때에는 명확하게 다루고 이야기할 있게 된다. 거기에는 민족, 모국, 문화 대신 '가정' 중심이 되어 전개된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3문화를 부정한다. 아니 좀 더 나이브하게 이야기하자면 현대사회의 일상이 이미 교차문화이며, 일상이 소위 제3문화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글. 

 

재외국민자녀의 재입국, 사회화

*원글은 페이스북을 통해 발표했고, 다시 개인 블로그에 옮긴 글을 가지고 왔습니다. 일반적으로 청소년기의 사회화는 개인의 성장 발달과제를 풀어가는 것과 연계하여 이야기된다. 그러나 이

withtck.tistory.com

 

[번역] TCK 제3문화아이들 이라고 느껴지는 것

출처: 헤럴드스코틀랜드 What it feels like to ... be a third culture kid Faye Richards 저는 네덜란드와 미국 부모님에게서 태어났지만 한번도 두 나라에서 살아본 경험이 없습니다. 저는 어렸을 때 타이완..

withtck.tistory.com

 

다문화 범주화보다는 공동체성 회복으로

요즘 저의 가장 큰 관심사는 다문화 사회의 한국화입니다. 정치나 경제, 사회 전반을 보더라도 법과 사회 통념, 그리고 관습이 보여주는 엇박자는 오히려 혼란과 비리를 양산하고 있다고 생각하

withtck.tistory.com

 

다문화주의와 TCK 관계

다문화주의를 설명하는 그림(출처: 모두 다문화야!/최영민/풀빛/2018)입니다. 다문화주의는 고전적으로 미국같은 국가/민족별 이민사회를 설명하는 것으로 문화적 동등성을 배경으로 합니다. 그

withtck.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