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랫목은 요즘 같은 겨울엔 딱이다. 항상 이불로 덮혀 있고, 그 아래엔 저녁밥이 놋그릇에 담겨 있다. 좀이라도 몸부림치며 장난칠라면 엄마는 "야, 밥 엎어진다."라고 혼내셨던 기억이 아직도 새록 새록하다.
대가족 사회에서 아랫목은 언제나 어른들 차지였다. 손주가 있으면 그곳은 손주들의 놀이터다. 교육은 그곳에서 이뤄진다. 지식과 말하기, 예절 모두가. 한국 사회의 대가족 분화는 교육의 주체가 가정에서 학교로 완전히 이양됨을 의미했다. 전통적 가치 교육은 학교와 가정이 상호 신뢰 속에서 이뤄졌다.
하지만 사회로 이동되면서 사회 가치가 교육의 핵심이 되었다. 즉 국가의 가치관이 마을 공동체 가치관보다 우선시 되었고, 가정의 가치관보다 우선시 되었다. 한국에서 서구의 가치관이 전통적 가치관보다 우위를 점한 것도 바로 이런 시간의 변화를 겪으면서라고 생각한다.
국가 가치관은 좋은 의미에서 전통적 가치관의 통일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는 정권의 가치관과 인본적 가치관이 모든 가치관을 통제했다. 인본주의의 핵심, 유토피아 건설이 교육을 통해 이뤄질 수 있음을 믿었다. 유토피아 환상은 정권을 가진 이들의 선전 수단으로 활용되었고. 결국 오늘날 사회의 교육문제는 이런 기반으로 성장한 결과다. 문제는 바로 유토피아 환상이 깨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으로 다양한 가치가 사회 안에 존재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교육은 여전히 근대적 가치와 목표를 가지고 있다. 더 웃긴 것은 교육이 고상한 단어들로 포장하고 있지만 실제는 소비주의와 세계화, 그리고 자본주의에 지배되고 있다는 것이다.
인요한씨의 글은 그 속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그는 우리가 어떻게 이 난관을 풀어야 할지 말하고 있다. 물론 대가족 제도, 가족 중심의 교육이 해답이란 말은 아니다. 하지만 그 속에 담겨 있는 가치, '존중', '함께 삶', '가족'들은 출구가 보이지 않는 한국 사회의 난관을 풀어가는 실마리가 된다고 믿는다.
1959
년 전주에서 태어난 나는 어린 시절 대부분을 순천에서 보냈다. 나의 4대조 할아버지 유진 벨 선교사는 미국 남장로교 후손으로
호남지역에 파송돼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 할머니 샬럿 벨은 1899년 목포, 아버지 휴 린튼은 1926년 군산에서 태어났으니 나는
자녀를 포함해 5대째 한국에서 가문을 이루고 있는 셈이다.
아버지는 섬으로 선교를 다니느라 한번 집을
나서면 많은 경우 최소 2, 3주 집을 비웠다. 어머니는 결핵 퇴치 사업에 바빠 5남 1녀를 챙기기 힘들었다. 나는 자연히
린튼가보다는 순천시 매곡동 동네 어른들 손에 컸다. 친구 집에서 놀다가 그 집 아버지가 돌아오시면 으레 “아버지 오셨다∼”는
소리가 식구들의 입을 타고 온 집안에 울려 퍼졌다. 나도 함께 숨을 죽이고 벌떡 일어나 친구 아버지께 넙죽 인사하며 귀가를
반겼다. 아버지는 집안의 중심이자 어려운 존재란 걸 그렇게 알았다.
형들에게 맞고 울면서 동네 할머니에게 하소연하러 가면 할머니는 한복 고름으로 내 눈물과 콧물을 닦아 주시면서도 “그래도 형은 형이다. 형 말을 잘 들어야 한다”고 했다. 나이가 많은 사람을 존중하는 예의를 배웠다.
날이 저물면 아이들은 할머니 할아버지의 골방 아랫목에 모였다. TV도 인터넷도 전기도 없던 그 시절 동네 최고의 엔터테인먼트는
경험 많은 노인들의 스토리텔링이었다. 대나무 밭에서 호랑이를 봤다는 무용담, 전쟁통에는 돼지도 울음을 멈추고 고요하더라는 기억, 집
앞에 시신이 널려 있었던 이야기….
이야기엔 삶의 지혜가 넘쳤다. “바람이 저쪽으로 불면 비가 오고, 이쪽으로
불면 비가 그친다” “씨는 언제 뿌려 언제 거둬야 한다”는 자연의 섭리, “남한테 피해 주지 말아야 하고 남이 도움을 청하면
기쁘게 도와라”라는 공동생활의 원칙…. 내가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유치원도 학교도 아닌 아랫목에서 배웠다.
할아버지 할머니의 이야기 속에서 나는 질서와 정, 순정과 의리 같은 사람살이의 가치를 배웠다. 미국
대통령과 한국 대통령을 포함해 수많은 고위 인사를 만나도 품위와 자신감을 잃지 않고 대화할 수 있는 능력, 나를 이 자리에 있게 한
핵심 경쟁력인 둥글둥글한 성격은 ‘아랫목 교육’의 힘이다.
한국은 제국주의의 침략과 전쟁으로 인한 폐허 속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까지 유치하며 경제대국을 일군 기적의 나라다. 나는 한국인의 저력의 바탕은 ‘공동체 문화’에 있다고
본다. 피를 나눈 사람만이 가족이 아니라 온 동네가 확장된 가족 공동체로서 공생하며 시너지를 냈다. 아랫목에서 공동체는 함께
어울리고 상대를 존중하며, 사람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갖는 인재를 길렀다.
소가족 중심으로 공동체가 분화되고,
아파트 그리고 각자의 방으로 공간마저 나뉘고, 중앙난방으로 아랫목이 사라지면서 한국인은 이런 교육의 공간을 잃었다. 집에 오면
가족 대신 강아지가 반겨준다는 중년의 아버지, 돈 등의 이유로 가족을 해치는 패륜 범죄, 어려운 이웃을 외면하는 각박한 민심의
이야기가 자주 들린다. 한국인들이 잃은 것은 아랫목만은 아닌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