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du in Diversity

한국어란 무엇인가? "한류의 붐"을 보면서 드는 생각


기사의 내용은 단순하다. 한글이 한류 붐으로 뜨고 있다는 것. 그러므로 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는 이야기다. 한글은 참 오묘하다. 소리나는대로 쓸 수 있는 언어다.(표음문자라고 한다.) 그럼에도 어렵다. 몇가지 법칙이 있기 때문이고, 받침이 두개가 올 때 오는 불편함도 있다. 

한글은 두가지 의미를 갖는 것 같다. 하나는 표음문자로서의 한글이며, 다른 하나는 한국어로서의 한글이다. 최근 이 두가지 구분은 타언어에 한글을 사용하면서 구분되는 것 같다. 원어적으로 본다면 한국어가 곧 한글이겠지만 말이다. 

언어의 대중성은 언어의 편의성과 관계없는 "세계 정복"과 깊은 연관을 갖는다. 지배와 통치라는 환경에서 언어의 확산은 이뤄졌다. 전쟁과 정복은 언어의 확장을 가져왔으며 영어의 세계화는 그런 역사의 증명이다. 실상 영어는 세계 언어 사용 1위는 아니다. (중국어 1위, 스페인어 2위, 영어 3위) 그럼에도 영어가 오늘날 세계 중심어가 된 이유는 아마도 2차대전 이후 미국 중심의 패권 구도가 이뤄졌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확장을 "탁월성"이라 의미한다면 한국어의 "탁월성"은 한국이 "강자"가 되려는 야심을 은연중에 담고 있음을 의미한다. 

언어는 문화를 갖는다. 한국어을 배운다는 것은 한국을 배운다는 의미이다. 한국의 정서를 이해하는 틀을 갖게 되고, 표현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 더 나아가 자국에는 없는 표현들을 배우고 사용하게 한다. 언어는 단순하게 지식을 전달하는 능력이 아닌 감정과 느낌, 더 나아가서는 보이지 않는 세계관을 담도록 한다. 그렇게 발전된 각각 언어들을 어떤 기준으로 탁월성을 매길 수 있다는 걸까? 과거 라틴어/히브리어처럼 종교적 언어이기에 탁월성이 있다는 주장도 받아들이기 힘들다. 여기서 "탁월성"은 인종적, 문화적 우위를 주장하는 교만함의 증거다.

한류와 한국어 붐은 한국이 그만큼의 위상을 갖게 되었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그것은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문화적 친화성을 내포할 뿐이다. 비공식적인 라인이긴 하지만 한국 안에는 미드/일드가 대중적인 호응을 오랫동안 보이고 있다. 그렇다고 이를 미류, 일류라고 부르지 않는다. 이 영향력에서 한국도 영향력을 가졌다고 자랑하고 싶은지 모르겠다. 다른 분야에서 "세계," "최고," "독보적" 이라는 형용사를 난발하는 것도 '이제는 우리 한국을 봐줄만 하지 않니?'라고 인정받고 싶은 열등감에서 비롯된 아동기적 발상이 아닐까 생각한다. 어쩌면 이것이 "한류"의 실체가 아닐까? 

그렇다고 한국어을 가르치는 것을 그만둬야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다시 말하지만 언어가 가진 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에 대한 소통과 이해에 있다. 한국어는 한국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도구다. 다만 '한류'라던지 '붐'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서라도 해외에 한국어을 가르칠 수 밖에 없는 현실이 안타까울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