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du in Diversity

교육을 돈으로 살 수 있는 세상


경향신문에서 발췌

공교육 부실문제는 한국 사회의 성장에 미치지 못한 교육 시스템에 있다. 그런 가운데 정부는 세계 시장에서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반응을 하고 있는데 교육부문에 있어서 공익의 측면보다 시장의 측면에 반응하고 있는 것 같다. 사실 "공익"이라는 것에 대한 개념도 정치적인 문제로 비화되고 폭이 커지고 있어 보인다. 정부와 이를 비판하는 것의 공통된 생각은 "공교육이 이대로는 안된다"는 것이지만 그에 대한 해법이 다르고 사회적 갈등으로 확산되는 것이 최근의 현실이다.

그 중 민감한 이슈는 바로 사교육이다. 사교육을 붙잡겠다고 달려든 것은 오래전부터 있었던 일이다. 그러나 오늘의 모습은 21조의 시장으로 변화되었다. 사교육 시장의 등장은 공교육에 대한 불안감이며, 시장 확대는 공교육의 붕괴를 의미한다. 더우기 한국 경제의 성장 둔화로 인해 취업란이 가중되고 있으며, 사교육은 그런 상황에 탄력을 받았다. 한마디로 파이는 줄었는데 수요는 늘어버린 형상이 되었다. 수요자들은 경쟁률을 높이는 일, '스팩'을 채우는 일로 경쟁력을 만든다. 그 스팩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결국 "돈"이다.

최근 외무부에 인턴사원으로 자신의 딸을 보낸 외무부 장관 이슈나 재벌가 자녀들의 고속 승진은 그 스팩이 좌우한 것임을 한국 사회에 확실히 보여줬다. 줄어든 파이에 몰려든 수많은 무리들 가운데 이미 태어나면서부터 어떤 파이에 이미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이들이 있음을 보여준다. 

부모 소득차이로 학업 성취도 격차가 나고 있다는 기사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고소득자가 기회를 많이 제공받는 것은 당연할지 모른다. 하지만 "학업 성취"가 공교육이라는 틀에서 정당한 경쟁이 이뤄질 수 없다는 불공정성은 분명 문제가 된다. 그와 더불어 "성취"가 의미하는 기준이 무엇이며 어떤 방법으로 평가를 하는지도 교육의 공정성을 해치는 것이 된다. 여기에는 교과부의 교육 내용과 분량의 문제도 있는 것 같다. 아이들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교과부에서 교육안과 시스템을 짜기보다는 기계적인 분량 조절과 나눔에 의존하는 것처럼 보인다. 경제적 능력이 있는 학부모는 교육안을 모두 소화할 수 있도록 자녀의 실력에 맞는 교육의 질과 시간을 제공하고 그 결과로 학업"성취"를 얻는다. 교육의 질과 시간은 결국 돈에서 나오게 된다. 
 
이를 개선하는 데 있어서 보다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근대적 교육은 IQ라면 오늘의 세대는 EQ가 자리잡고 있다. 이성의 역할이 완전하지 않음을 알고 있음에도 여전히 공교육은 IQ개발에 치중하고 있으며 그것이 평가기준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변화에 빠르게 감지하고 반응하고 있는 그룹이 바로 사교육 시장이다. 사교육 시장은 사회의 요구 기준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으며 그에 반응하는 빠른 기동성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