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니오늘그림

(5)
파란 가을 하늘 아이들 소리에 문득 하늘을 올려보니 청명한 가을하늘이 펼쳐져 있다. 어제보다 더 파랗게 다가오는 건 내 마음의 구름이 달아나 버려서일까? 아니면, 놀이터에 가득한 푸르른 소리들에 물들어서일까? 2022. 9. 22. 서울 관악구 샘말공원에서
사람의 본질은 타고난 걸까? 아니면... 예전에 보았던 영화 [아마데우스]에서 타고난 모짜르트의 모습에 질투에 가득찬 살리에리의 대립은 자녀를 양육하는데 고민을 던졌다. 영화에서는 유전자 자체가 탁월한 모짜르트는 나름의 재능과 엄청난 연습으로 궁정작곡가 자리에 오른 살리에리를 항상 좌절케 하여, 유전자 절대성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사실은 어떨까? 아이들의 성장에 대하여 존 왓슨이나 스키너는 환경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크게 보았다면 행동유전학자들은 유전적 요인의 절대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대립은 사회의 구성과 적응의 요인을 어떤 관점에서 접근하고 또 그 기저에 깔린 철학/문화적 배경에서 기인하는 일종의 정치성을 띄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아직까지도 작동하고 있는 인종주의와 문명론이 아닐까 싶다. 어쨌든... 우리는 종종 열심히 하면 '이룰 수..
너여서 괜찮아 어제 집으로 오는 길에 한 지인과 내 논문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되었다. "그래서 목사님이 하고 싶은 이야기는 뭐예요?" 이런 저런 이야기를 주절거렸지만, 생각해보니 별거 아닌 이야기다. "MK가 선교사자녀라서, 교차문화에서 자라고 있어서, 영어를 잘해서, 좋은 신앙 유산을 가지고 있어서... 가 아니라 그냥 너여서. OO여서 괜찮아." '우리 자녀들이 어떤 미래를 가지면 좋겠다.'라는 상상은 부모의 특권일 수 있지만, 그것의 가부는 오롯이 자녀의 몫이다. 더구나 자녀들의 미래 환경을 부모가 예측하고 지도해 줄 수 있다는 믿음도 사라진지 오래다. 부모가 할 수 있는 일은 생각보다 없는 것이 현실이라면,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까? 그리고 우리는 자녀 세대에게 어떤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을까? (가면에 대..
아이는 부모의 거울 아이는 부모를 관찰하며 즐거워하는 일들을 따라한다. 내가 재미있게 하는 일들은 주목하고, 흥미를 갖는다. 그리고, 바로 시작한다. 최근 내가 그리는 일일삽화를 지켜보더니 1호가 따라하고, 바로 2호가 따라간다. 우리가 가르치고 싶어하는 내용들이 혹 아이들의 관심을 받지 못하거나, 지루해 하는 건, 어쩌면 부모들이 싫어하거나 의무적으로 여기는 것인지 모른다. 물론 아이들 스스로 가진 특성도 있겠지만... 어쨌든, 우리가 아이에게 가르치고 싶어하는 것이 있다면, 우리가 먼저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먼저가 아닐지 생각해 본다.
마블히어로 블랙팬서 별이 되다. 채드윅 보스먼이 지병으로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잠깐 멍했다. 그동안 어떤 소식없이 있었는데, 16년에 대장암이 발견되고 지금까지 조용히 싸워오셨다고. 블랙팬서가 나에게 어떤 의미였나 싶으면, 딱히 중요하지 않으면서도 지난 밀레니엄에 들어서면서 마블의 스토리가 미친 영향이 적지 않다는 걸 깨닫게 된다. 그리고 우주의 구원 이야기에 아프리카가 하나의 분깃을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는 지난 세기를 극복하는 서상 속 희망은 아니었을지 싶다. 그래서 이렇게나마 추모하고 기억해 본다. R.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