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CK

(26)
한글의 나라 by Visual Design Art School 한국인의 정체성을 생각할 때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무엇일까요? 저에겐 아마도 한글인거 같습니다. 한국어가 세계에서 가장 어렵다고 평가됨에도 불구하고 한글은 읽기에 가장 쉬운 글이라는 건 아이러니입니다. 그에 대한 좋은 영상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TCK외국민자녀들에게 한글이 담고 있는 그 아름다움을 보여주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냥... 언어가 아니라 한국인, 그 정체성을 담고 있기에, 자랑할 이유가 충분히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삶에 목적에 있어서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지 세종대왕을 통해서 배울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만드신 분들 수고하셨습니다. 당신들이 자랑스럽습니다.
디아스포라 사역자 가정이 직면한 일상. 디아스포라 사역자 가정이 직면한 일상. 그것이 축복이 되려면 다름의 인정과 소통의 인내, 수용의 기다림, 그리고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디아스포라 속에서 자녀로 사는 것도 어렵지만 그 속에서 부모됨은 더 거칠다. 그렇기에 그 유산은 더 풍성항 것이라 믿는다. from Facebook 이장호 목사 https://www.facebook.com/jlee0510
성인 아시아 MK 모임에 대한 보고회를 참석하고... 몇일전(5월21일) 모민 자매의 "성인아시아 MK 모임" 보고를 들으며 든 생각을 정리해 본다. 아마도 한국 선교를 풍성하게 만드는 시도가 되지 않을까 싶다. 성인아시아MK 모임은 아시아 지역의 5개 선교사 파송 국가의 MK들이 모여 자신들의 이야기를 나누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는 자리로 올해 처음으로 태국 치앙마이에서 열렸다. 그동안 OMF에서 아시아 MK를 위해 애썼던 Polly Ho와 한국 김모민자매, 그리고 일본, 홍콩, 싱가포르, 인도에서 총 11명이 모여서 열린 모임이었다. 보고회에서 발표된 선언문을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은 목표를 두었다. 첫째, 서양 MK들과 비교했을 때 아시아 MK들의 특수성을 설명하고, 둘째, 성공적인 pre-field 준비, 선교 현장 경험과 재입국..
파란 나라에 정착한 초록 나라 아이. 인요한 출처. 조선 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3/22/2012032200115.html 선교사로 4대가 내리 한국 사랑으로 오늘까지 왔고, 결국 한국 국적을 취득하게 되었다. 그의 인생 이야기 "내고향은 전라고, 내영혼은 한국인"이란 책을 보며 그가 70-80년대의 암울한 시대를 전라도에서 살아내며 체득한 한국인의 정체성을 보게 되었다. 그는 노란나라(미국) 사람이지만 파란나라(한국)에 와서 살았던 초록나라(TCK)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만나 한국인의 물리적 DNA는 없지만 정신적 DNA를 가질 수 밖에 없었던 파란색에 가까운 초록 사람이다. 물론 한국이 싫은 것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한국을 떠나지 않았고, 심지어 광주사태로 인해 어려움을..
MK는 개학을 두려워 한다. MK/TCK 모두 두려워 하는 것이 있다면 그건 개학일 것이다. 이건 무슨 개풀뜯어먹는 소리냐구? 한국의 모든 학생들은 개학을 싫어한다구! 그렇다. 사실 모든 학생들이 개학을 싫어한다. 텔레비젼에서 "전 공부가 제일 쉬웠어요."라고 가식떠는 애들은 모든 학생들의 적이다. 그런 분위기에 개학을 MK/TCK가 두려워한다는 건 너무나 당연한??? 신입생 MK들은 대입을 기대한다. 하지만 한국 대학 문화에 대한 두려움은 큰 거 같더라.(특히 과한 OT문화를 싫어한다. 그러고보니 끼리끼리 노는 무언가는 좀 과한 액션을 하는 것 같다.) 얼마전 한 MK의 메시지를 봤다. OT에 갔는데 술을 권하는 것 때문에 힘들었다고. 자신가 거절하는 것으로 다른 사람들까지 힘들게 하는 문화가 싫다고. 하지만 재학생들에게 개학은 ..
MK의 잠재력. 현지토착화의 삶을 2세대에서 이루다. 아프리카 가나에서 사역하는 최용순 선교사 차남 최승업씨가 최근 한국 언론에 계속 소개되고 있다. 타이틀은 '가나에서 성공한 청년 사업가'. 그는 부모인 선교사와 함께 1992년 1월, 아프리카 가나로 갔다. 그의 나이 14. 한국이 세계적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선교사들의 삶은 그리 녹녹하지 않았을 것. 결국 그는 현지 중학교를 다녔고 현지 가나인처럼 성장했다. 그의 경험이 어떠했을지 잘 모르겠지만 그 나름대로 힘든 시간을 겪어나갔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적응했고 리더십을 발휘하며 고등학교 시절을 보냈고 현지 대학을 졸업하였다. 그에게 있어서 아프리카는 어떤 땅이었을까? 아마 부모 선교사들이 지닌 현지에 대한 절박한 심정만큼이나 그에게도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그가 현지에서 가나인도 아니면서 가나인으로 살아..
2010 ICEC참석소감 정리 ICEC를 참석하면서 느낀 것과 전체적 흐름 및 추세를 정리하면... 1. 국제학교의 복잡한 상황. 집단주의 문화 속에 개인주의 문화의 학교가 세워졌을 때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되 학교의 정책을 어디까지 주도적으로 이끌 것인지의 고민을 가지고 있다. 2. 한국 TCK이슈는 해외 현장에서 국내로 들어오기 전 입국에 필요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3. 기숙형 학교의 기숙사들의 고민은 생각보다 깊다. 동성애, 자살, 왕따, 권위에 순종하지 않음 4. 통합교육에 대한 이야기. 통합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했다. 한가지 한국과 서양의 큰 차이는 통합교육에 있어서 서양은 단순한 반면에 한국은 너무나 많은 것을 수업에서 담아내려 한다는 것이었다. 5. 다문화 가정에 있어서 교육의 시작은 가정이다. 미국 사회..
최근 참석했던 TCK 네트워크 모임... 한국의 해외 진출은 늘어나고 그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한국 사람들이 등장하고 있다. 최근 조기유학으로 인해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다지만 아직도 한국 내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이들이다. 강의했던 남자분은 일본에서 성장해서 미국에서 공부하고 있었던 분이었고, 이 모임을 이끌었던 이사벨씨도 미국에서 성장해 한국에서 결혼하여 살고 있는 분이셨다. 이렇게 사회적으로 이슈를 다루는 그룹들이 더 많아지고 다양한 주제들을 통해 한국 사회가 더 관용있고 다양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문을 여는 창구가 되었으면 좋겠다. 아직 홈페이지가 새롭게 바뀌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 기대해 봄직 하다. http://tck.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