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 한국어 교재 다 나왔다 2007년 11월에 한가람교회에서 출판감사예배가 있었을 때 처음 만난 이후 2년이 지난 지난 1월에 마지막이 출간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 책에 대한 소식은 2006년에 들었는데 아마도 책을 준비하는데에는 꽤 오랜 시간이 걸린 것으로 생각된다. 개인적으로 임덕순 목사님의 수고와 무엇보다 김신자 선교사님의 열정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하고 싶은 많은 일들을 머리 속에 묶어두고 이 책에 올인해 가시는 모습은 후배로서도 깊이 배워야 할 태도인 것 같다. 항상 뵐 때마다 사람이 없어 안타까워 하시는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가슴이 아린다. 이번 3권 발간을 통해서 기초부터 고급과정의 한국어를 활용하는데 MK뿐만 아니라 한글학교에서도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물론 아쉽지 않은 건 아니다. 교재들이 전체적으로.. 2010년 방콕포럼 소식 “MK 사역, 인프라 구축 위한 시스템 마련 시급” MK 사역의 구조적 문제 해결할 시스템 마련 시급 현장선교사, 선교학자, 지역목회자들이 모여 한국교회의 선교 현안들을 논의하는 방콕포럼이 지난 25일 개막돼 4박 5일간 태국 몬티엔 리버사이드호텔에서 ‘한국 MK사역 4반세기의 회고와 미래 전망’이라는 주제로 진행 중이다. 포럼 첫 날 ‘선교지 한국 MK 교육의 현실과 사역적 필요’라는 제목으로 발제한 이훈 선교사(Faith Academy)는 한국교회가 파송한 선교사와 MK에 비해 MK 사역자 수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MK 사역자들의 열악한 후원 현실과 구조적인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전략적 시스템이 시급함을 주장했다. 그는 “2009년 KWMA에 따르면 한인선교사 수가 20,445명이고 선교사자녀 수가 13,868명으로 집계됐는데, 우리가 국.. 기독공보]원칙없는 교육으로 그들이, 그들의 부모가 무너진다 제7회 방콕포럼, "공동체적 안목으로 MK교육 대원칙 세워야 한다" ▲ 교육문제는 선교사 사회에서도 매우 민감한 주제였다. 5일 간 진행된 회의 내내 신앙인이자 국제인으로, 나아가 하나님 나라 백성으로 자녀들을 길러내기 위한 선교사들의 고심을 느낄 수 있었다. 수시로 진행된 기도회에서도 눈물의 기도를 심심치 않게 볼수 있었다. 사진/장창일차장 【태국 방콕^장창일차장】'한국 MK사역 4반세기의 회고와 미래 전망'을 주제로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7회 방콕포럼이 선교사 자녀(MK)들의 바람직한 교육과 양육 등에 대해 논의한 뒤 본격적으로 해외선교를 시작한 지 30년이 채 안되는 한국교회가 현 시점에서 선교사들과 후원교회, 교단과 선교단체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MK교육 지침'을 마련하고 파송훈련 시 철저한 .. 20100208 동아]럭셔리 대안학교가 떴다. 골프-승마-SAT특별반 운영… ‘유학-진학형’ 학교 속속 등장 “우리나라 교육정책은 너무 자주 바뀌잖아요. 우리 애가 괜히 희생양이 될까 봐 걱정도 되고 경쟁력 없는 획일적인 공교육을 받는 것도 싫더라고요.” 1월 말 서울 서초구 양재동 양재역 근처에서 열린 A대안학교 입학설명회. 이 자리에 모인 학부모들은 미국 대학수학능력시험(SAT) 대비반을 운영하는 데다 중국어 교육, 미국 중고등학교 과정의 수업을 진행한다는 A학교의 계획에 솔깃해했다. “꼭 명문대에 보내려는 욕심이 아니라 (아이가) 영어와 중국어 구사 등 내실 있는 교육을 받으며 성장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찾게 됐지요.” 학부모들은 한 해 수천만 원에 육박하는 학비에는 부담스러운 표정이면서도 “어차피 학원이나 과외를 보내며 쓰는 사교육 비용을 따져.. 한국의 최초 MK 엘리스 레베카 아펜젤러 엘리스는 한국 감리교 최초의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와 엘라 아펜젤러 부부 사이에서 1885년 11월 9일에 태어났다. 그녀는 엘라 아펜젤러의 태중에서 태평양을 건넜고, 그해 가을, 서울에서 태어났다. 이후 국내에서 유치원을 마치고 어렸을때 통신교육을 받다가, 11세에 중국 산동성에 위치한 치푸 스쿨(CIM소속 외국인 학교)에서 5년간 공부를 하였다. 그리고 아버지 헨리 아펜젤러가 사고로 사망하고, 그녀는 미국으로 이동하여 고등교육을 마쳤다. 1915년에 감리교 선교사로 돌아온 엘리스는 이화어학당에서 영어와 역사를 가르쳤고, 1922년에 6대 어학당장으로 취임하였다. 그리고, 1925년 4월에 이화어학당을 이화여자전문학교로 승격시켰고, 미일관계의 악화로 1940년에 강제귀국될 때까지 현재 신촌 자리를 마련하.. 개신교 첫 순교의 피흘린 선교사 대원군 집권 3년인 1866년 병인년 우리나라 교회역사상 가장 다사다난했던 한해였습니다. 새해 벽두부터 나라안의 천주교인들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한 병인박해가 일어났고 곧이어 병인양요까지 치뤘으니 외세에 대한 조선의 쇄국정책은 극으로 치닫고 있었습니다. 같은해 8월 평양의 대동강에 미국의 무장상선 제너럴셔먼호가 나타났는데 이 배에는 스코틀랜드 성서공회의 후원을 받은 로버트 토마스라는 선교사가 통역관으로 동승하고 있었는데, 그가 바로 한국 개신교의 첫 순교의 피를 흘린 주인공입니다. 1840년, 영국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난 토마스. 어려서부터 선교사에 대한 소망이 남달랐던 그는 드디어, 1863년 24살의 나이에 런던선교회의 파송을 받아 꿈에도 그리던 중국에 도착하게 됩니다. 하지만 곧이은 부인의 죽음과 선.. 내 이름은 바울~~ 내 이야기 좀 들어볼래? 내 이름은 바울, 원래 이름은 사울이야. 나는 하나님을 잘 안다고 생각했지. 그 당시 꽤 잘나가던 분의 수제자였거든. 그래서 예수님의 이야기를 전하는 사람들을 만났을 때 하나님이 어떻게 인간이라 말할 수 있는지 화가 났어. 그래서 그렇게 믿는 사람들을 한 퀴에 싹, 한 방에 퍽~ 그런데 말이지. 다메섹으로 가는데 믿지 못할 일이 생겼어. 갑자기 예수님이 오신거야. 난 눈이 멀었고,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야만 살 수 있게 되었어. 잘나가던 내 인생... 쫑 친거지. 그런데 말야. 어떤 사람이 내 눈을 열어줬어. 그리고 예수님의 이야기를 진지하게 듣게 되었지. 근데... 예수님이 하나님이었다는 게 믿어지게 되는거야. 너흰 믿을 수 있어? 내가 핍박했던 예수님이 내가 정말 자랑한다고 했.. 좋은 뉴스 기사 퍼오기가 왜 이리 어렵노... 카피라이트... 다 좋다구... 근데 정보 주는 신문 너마저 퍼가기 맘대로 못하면 어떻게 하라구... 우띠... 내가 욕심장이인가? 너무 가지고 싶은 게 많아서... 이젠 남의 글도 갖고 싶은거야? 그런거야? 어디서 가져왔는지 오리지널 소스의 출처를 밝히면 써도 된다구 해줘라... 응 응 응??? 이전 1 ··· 65 66 67 68 69 70 71 ··· 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