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27)
네덜란드 대학소개 필리핀 MK 최지웅군의 조사를 스크랩해왔습니다. 유럽 쪽 대학들이 대학원 과정의 경우 대다수의 과정을 영어로 진행하는 것에 반해 학부는 현지어 커리큘럼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제가 좀 조사를 해 보니, 네덜란드 쪽에서 최근 십여년 사이에 영어 학부 프로그램을 많이 개설했더라고요. 연세대학교의 언더우드국제학부 쯤으로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학비도 국내 대학교와 비교해 보았을 때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유럽시민이면 정말 싼데, 우리는 한국인이라 그것은 좀 아쉽네요. 하여튼 네덜란드의 유명 대학교들에 소속되어 있는 교양학부 단과대학들을 소개합니다. 이건 제가 직접 찾아서 정리한 겁니다 (전 대학교 졸업한지가 좀 되었지만, 원래 진로 상담 관련 분야에 관심이 좀 많습니다.) University Col..
어린이 영어교육 ‘엄마 학력 높을수록, 가구 소득 많을수록’ 빨리 시작 유치원 등 통해 평균 3.7살에 서울 강남3구는 되레 4.0살 “어릴때 놀이학원 선호 때문” 전반적으로 어머니의 학력이 높고 가구 소득이 많은 가정의 아이들이 영어교육을 시작하는 시기가 빠른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서울의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는 오히려 평균보다 영어교육을 늦게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육아정책연구소가 펴내는 육아정책포럼 최근호에 실린 ‘유아기 영어교육 실태 분석’ 보고서를 보면, 유아들이 영어교육을 처음 시작한 나이는 평균 3.7살로 집계됐다. 하지만 서울의 강남 3구는 4.0살로 조사돼 평균보다 늦게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지난해 6월 말부터 3주 동안 서울과 경기도에 사는 초등학교 1~2학년생 자녀를 둔 부모 12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2012 대학 수시 모집 관련 기사(선교사자녀관련해서) - 2013년도 대학 수시모집에서 4년제 대학의 지원횟수 사실상 무제한. 연합뉴스 2011. 8. 30. - 2012년도 대학 수시모집 요강, 주요사항을 발표! 4년제 대학 수시모집 사실상 부제한! 2013학년 대학 입시(현 고등학교 2학년생)에서 수시 모집 지원 횟수를 제한하려던 계획이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합니다. 원래 대교협에서 4년제 대학의 수시 지원 횟수를 5회로 한정하려고 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무분별한 지원을 통해 소신지원한 피해자들을 줄이고자 하는 의도인 것 같은데요. 수시를 통해 적절한 학생을 찾으려는 의도로 본다면 수시 지원 제한은 적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학생과 부모가 아이의 성향과 자신의 의도를 보다 명확히 하려는 차원에서도 필요한 조치일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의 ..
미국 한국 대학보다 아시아 대학을 노려라? 최근 페이스북에 올라온 최지웅 MK가 나눈 글을 올려봅니다. 그가 나눈 정보는 MK들에게 충분히 도전할만하고 장래성이 있어 보입니다. 조선일보와 영국의 QS(Quacquarelli Symo nds)가 공동조사한 "2011 아시아 대학평가" 기사를 참고로 같이 올렸습니다. 기사 내용을 보면 홍콩과 싱가포르, 한국 그리고 아시아 지역에서 오랫동안 강세를 보여온 일본이 좋은 평가를 받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흥 개발 국가들의 대학 역시도 성장세를 가지고 있으며 중국과 인도의 성장세는 앞으로 눈여겨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대학진학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학생의 관심사와 의지가 일순위이고 그 다음이 그에 따른 교육 옵션일 것 같습니다. 각 지역마다 특색있는 전공들이 다르므로 그에 맞춰 선교지에서의 ..
호기심, 즐거움 그리고 예배로 이끄는 교육/문화 요즘 무언가를 설명할 때 "Dan Pink의 과학에 대한 동기유발"을 빼놓지 않고 이야기한다. 왜냐 하면 오늘날 세계를 움직이는 힘이 어디에 있는지를 가장 잘 설명하기 때문이다. 외부적 동기와 내부적 동기 가운데 어떤 것이 더 생산적인지의 질문을 가지고 내적 동기의 우위성을 강조하는 영상이다. 삼성의 성장과 애플과의 충돌 속에서 한국 언론은 애플을 요리하지만 아무래도 살아남을 것은 애플일 것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삼성은 죽어라 만들고 있지만 애플은 즐기며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설명을 바로 앞에서 설명한 Dan Pink의 영상이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삼성은 외부적인 동기로 운영하고 있지만 애플은 내부적 동기로 운영되고 있으며 내부적 동기로 이뤄진 결과는 구글 세계와 페이스북 세계다. 한국도..
사교육비는 증가하고 있는 건가? Yes!!! 김선동의원이 교과부 자료를 통해 지난 2010년 입시보습학원 추세가 증가하고 있음을 발표했고, 일년이 지난 지금도 계속 증가 추세임을 지난 24일 발표했다. 2010년도에는 증가율이 제주(5.62%), 대구(4.64%), 부산(4.45%) 등의 순으로 발표되었다면, 2011년도에는 전북 (3.9%), 대구(3.6%), 경기(3%) 순이었다. 전체 증가 추세는 둔화된 양상을 보이지만, 전체 학생수 감소를 염두해 둔다면 증가율이 둔화된 것이 아니라고 김의원은 이야기 했다. 이는 지난 2010년 교과부에서 발표한 보도자료(2010년 8월 13일자)와 비교하면 반대의 결과를 이야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단순히 거짓말이라기 보다는 자료를 읽는 부분에 있어서 다른 차이가 있는데, 일단 교과부의 주요자료는 각 가..
대학 기숙사 쟁탈전이 벌어지다.[한국일보 2011. 8. 24] MK들의 대학 기숙사를 이용하는 일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네요. 최근 전세/월세의 급등으로 그 불똥이 대학가에 미치고 있다는 기사를 작년에 보았는데 이게 더 심화되고 있네요. 아시안 미션에서 2개의 호스텔을 금년에 오픈했지만 귀국하는 MK들의 수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물론 MK들만의 문제는 아닙니다만 한국의 사정을 모르는 선교사님들과 그 자녀들에게 아무런 준비없이 들어왔다간 낭패보기 쉽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미리 미리 준비하시고 호스텔 예약도 입국전후로 하지 마시고 MK들의 계획에 맞춰 1년전에 미리 예약하시면 좀 더 쉽게 이용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기사 링크 한국외대 영어대학에 재학 중인 민모(21)씨는 2학기 기숙사 입주를 신청했다가 떨어졌다. 고향이 경남 창원인 민씨의 학점은 4.5 ..
한국 유치원 백년. 무엇을 의미할까? 한국 유아 교육이 100년이 넘었네요. 최초의 유치원이 경성유치원이라 소개합니다만 네이버 사전에는 정토종포교지원에 의해 설립된 나남유치원을 최초로 소개합니다. 그뒤에 1910년 정동유치원, 1913년 경성유치원이 설립되었습니다. 1914년 현존하는 최고 유치원은 이화유치원입니다. 그리고 1915년에 유치원교사 양성기관인 이화유치원 사범과가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일제치하에서 유치원 교육은 세가지로 구분됩니다. 민족주의계열, 친일본계열, 그리고 기독교 선교계열입니다. 이들이 가르치는 방법은 거의 비슷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지만 어떤 철학을 바탕으로 하는지에 따라 그 결과는 달랐을꺼라 생각합니다. (만약 같다면 구지 어떤 계열로 구분할 필요가 없었겠지요?) 교육이란 그 저변에 깔린 철학이 무엇인지에 따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