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ulture&M

(165)
2010 MK 둥지캠프를 위한 동영상
한국 선교의 가장 큰 격려, MK 선교사들에게 있어서 가장 큰 격려가 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일까? 예전만 해도 솔직히 개인적으로 생각할 때는 아마도 "선교비"가 아닐까 싶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결혼도 하고 선교사 자녀 사역을 하게 되면서 배우게 된 것은 "삶은 결코 물질로 풍성해지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여전히 물질이 선교사에게 있어서 중요하고, 또 간절함도 배어 있지만 그것을 뛰어 넘는 것, 그것은 바로 "자녀의 행복"이다. 한 선교사의 글을 링크해 올린다. 타국의 학교에서 아이가 받은 "노력상"이 본인에게, 그리고 부모인 선교사에게 얼마나 큰 격려가 되는지 잘 나타나는 글이 아닌가 싶다. http://blog.naver.com/jesussolafa/120110048725
선교의 시작, MK PFO, 소명속에서 함께 떠나기  선교사 가족이 헌신하고 공항으로 떠날 때 일반적으로 거치는 과정이 있다. 그것은 선교사로서의 소명을 확인하고 훈련하는 일이다. 대부분 파송단체들은 저마다의 특징을 가지고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그리고 그 안에는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부분이 아마도 현지 적응에 대한 것이 아닐까 싶다. 대부분의 이런 프로그램은 성인들에게 맞춰져 있고 성인들에게 제공된다. 자녀들에게는 이런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지 않다. 그래서 금년 저널을 선교사 싸이클에 맞춰 아이들에게 어떤 프로그램이 필요한지에 집중하기로 했다. 그 첫 시작은 바로 선교사들이 국내에서 준비하는 동안 자녀들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또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일이다. MK PFO(Pre-Field Orientation)가 필요한가? 우리는..
MK School 마닐라 한국아카데미 홈스쿨 과정 개설 평안하세요. 필리핀 마닐라한국아카데미(MHA)의 정찬규선교사입니다. MHA는 2009년부터 한국선교사 가정을 위해 한국교육과정으로 초등학교 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홈스쿨을 개설하여 운영합니다. 1. 모국어와 한국인의 정체성을 고민하시는 선교사님들의 고민과 현지 학교의 어려움 환경으로 학업에 걱정하시는 가정을 위해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2. 한국아카데미와 연계하여 홈스쿨 학생이 6학년때에는 한국아카데미에서 출석수업을 할 수 있도록 기숙사을 오픈해 주어서 한국아카데미 졸업생으로 초등학교를 마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3. 더불어 내년에는 새로 학교건물이 들어서면 홈스쿨 리소스센터도 오픈할 예정이고 한국어와 함께 영어홈스쿨 교재들도 효과적으로 병행하도록 AREC와도 협력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4. ..
청년MK들의 네트워크 홈페이지
이슬람 이민 2세가 테러범이 되는 까닭-시사인 김영미 기사 내용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7500
[‘귀국자녀’ 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하) 성공한 母子 이야기 국민일보 기사 대원외고 2학년 김윤겸(17)군. 김군은 어릴 적 미국 벨기에 등 두 나라의 초등학교를 경험했다. 외교관인 아버지의 근무지 때문이었다. 벨기에 국제학교에서 5∼7학년을 마친 뒤 2004년 한국에 돌아와 중학교 2학년으로 편입했다. 그 즈음, 김군은 '해리 포터 시리즈' '반지의 제왕'은 영문판이 편했고 도덕 문제는 답을 봐도 끝내 이해가 안되는 이방인으로 자라 있었다. 무한 경쟁의 한국 학교 시스템에서 윤겸이의 생존 확률은 객관적으로 높지 않아 보였다. 하지만 어머니 노정현(41·서울 자양동)씨의 우려와 달리 윤겸이는 "한국은 왜 이러냐"는 불평 한 마디 내비치지 않았다. 귀국 첫 학기 반장을 맡았고 군말 없이 영어 문법을 공부했다. 잦은 이주 경험 속에서 어느새 윤겸이는 '세상은 넓고 다..
선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세미나 이틀째 MK NEST는 안식년 선교사들과 선교지망생들을 위한 “제 10회 MK양육 부모교육 세미나”를 명성교회 안식년 선교사 프로그램과 함께 명성교회 새 예루살렘홀에서 3일간의 일정으로 18일 시작했다. 이번 세미나는 총 52명의 선교사가 참여하여 큰 관심을 보여주었고 강의뿐만 아니라 주변 선교사들과의 교제와 정보 교류들이 오가는 풍성한 시간이 되고 있다. 첫째날은 MK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루는 시간이었다. 한국 선교가 큰 성장이 있었지만 그들이 겪게 된 감춰진 그들의 이야기였기에 하나라도 놓치지 않으려는 분위였다. MK들의 수가 생각보다 많다는 것과 얼마나 많은 국가에서 성장하고 있는지를 수치로 보면서 놀란 눈치였다. 부모교육에 있어서 MK들이 누구인지 어떤 성향을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