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27)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의 주장 중 선진국, 후진국의 오류에 관해서 이 글을 쓰게 된 문제의 이미지. "선진국, 후진국을 거론하며 국정화를 반대하는 논리는 이미 그 자체에서 다양성을 배제하는 시선이 담겨 있다. 선진국 후진국이라는 잣대 자체가 이미 전재된 조건들 속에서 국가를 계층화" 요즘 역사교과서의 국정화 반대를 주장하는 글들을 자주 보게 됩니다. 그 가운데 유독 눈에 띄는 것이 있는데, OECD국가 가운데 국정 교과서 사용 국가를 조사해서 선진국 후진국의 분류하는 것이었습니다. 아마 시사인의 "역사의 주권은 국가에게 없다”를 근거로 작성된 것 같습니다. 이 조사는 여러가지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돌아다니고 있는 국정화 반대 글은 여기서 더 나아가 선진국, 후진국으로 구분하여 국정교과=후진국태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저는 적어도 어떤 국가에서 어떤 교과서를..
한국 개신교 복음주의 운동 강좌 3강을 듣고. 오늘 3강은 한국 개신교 복음주의운동의 분화 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1960년대 영미권 복음주의 진영의 분화가 1980년대 한국 사회에서도 비슷하게 발견된다는 점이었는데, 미국의 퓰러신학교에서 전적무오에 대한 입장차이 심화, 마틴루터킹 주니어의 죽음, 베트남전을 통과하면서 리차드 퀘베도는 전통적, 새로운, 젊은 복음주의로 나누어졌다고 보았고, 거기에 더하여 로버트 웨버의 차세대 복음주의(번역은 "젊은 복음주의"로 했으나 퀘베도는 young, 웨버는 younger)로 분화되었다고 표현했습니다. 전통적 복음주의는 빌리그레함, 새로운 복음주의는 존 스토트, 젊은 복음주의는 로날드 사이더 쯤의 대표주자를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차세대 복음주의는 윌로크릭, 새들백, 그리고 이머징교회로 구분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당연하지 않은 것들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어리석음 지금까지 선교사로, 간사로 살면서 '노동자'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 가끔 선교사들의 무리하거나 터무니없는 부탁을 응대할 때 초기에는 그나마 부드럽게 넘겼지만 짬밥이 생기면서는 감정적인 뉘앙스의 표현(일종의 가시와도 같이)을 담아내었던 것 같다. 요 며칠 서비스업에 계신 분들의 서비스를 받으면서 , 특히 가족을 대동했을때, 발생된 노이즈와 부산물들을 당연하게 대하던 모습에 그동안 내가 선교사들을 대했던 태도들이 부끄러웠다. 나 역시 나름 최선을 다했노라 생각했지만 그분들(서비스업 종사자들)을 보면서 반성 또 반성을 한다. 그들의 육체 노동의 강도도 만만치 않겠지만, 스트레스를 생각한다면, 그들에게 요구하는 무언가를 당연하게 여길 수 있는 것들이 생각보다 많지 않다는 걸 알게 된다. 그런 면에서 과거 내..
환상 속의 수평문화. 공고한 노인들의 나라 "우리나라는 세대 교체만 된다면 단연코 지금보다 적어도 몇 배는 더 좋은 나라가 될 수 있다고 나는 확신한다." 한국인에게 문화가 없다고?/최준식 우리 사회의 주도권이 60대 이상에서 40-50으로 낮출 것을 권하고 있다. 더더욱 디지털 시대 속에서 살 때 젊은 이들의 의견이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시대인 것이다.기독교는 100세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그래서 리더들의 나이는 하늘같이 높아지고 있고, 젊은 사람들은 누수되고 있다. 머리있는 이들은 에너지를 좀 더 가지고, 바보들은 에너지를 고갈해서 팽 당한다. 말 안듣는다면 잘라낸다.최준식 교수는 권위주의가 그 자체가 문제되는 거이 아니라 인본주의적 권위와 전제적 권위 가운데 후자로 빠져들 경우 문제가 된다고 말한다. 그 결과로 아랫사람들에게 의..
도시바 부정 뒤에는 기업문화가 담겨 있다. 한국인의 문법 중 집단문화 "There existed a cooperated culture at Toshiba where it was impossible to go against the boss' will.""도시바에는 대표의 의지를 거역하는 것이 불가능한 기업문화가 존재했다."Independent Investigation Committee. 어제 국제 뉴스에 일본에 안정된 기업으로 유명한 도시바의 회계장부 조작이 7년동안 이뤄졌고, 1518억엔, 그러니까 1조 4천억원의 이익을 부풀렸다고 한다. 부정 회계의 문제야 기업들 사이에서 가끔 일어나는 문제이긴 한데 적어도 7년동안 이 일이 일어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도시바 기업 안에 자리잡은 수직적 기업문화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CNN은 보도했다. 기업문화는 모국의 문화를 토양으로 성장..
세계화의 상호의존성과 TCK "서구인들이 향유하는 평범한 삶의 표준은 점점 더 증가하는 개발도상국과의 연결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개발도상국 시민대중의 삶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하는 것과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p. 467. 세계화, 전 지구적 통합의 역사 미얀마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을 위한 데모. 미얀마 공장 가운데 한국 기업도 상당수 있다. 출처. http://www.chron.com/news/world/article/Myanmar-workers-demonstrate-for-higher-minimum-6380011.php 더 이상 우리의 일상이 우리에게로 제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세계화이며, 이동성의 증가는 정치적 경제적 이유에서 제한되든 권유되든 우리에게 더이상 피할 수 없는 요소라는 점은 분명해진다. 이..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책나눔과 고민들 오늘 모임에서 논의된 부분은 표면적이지만 결국 신학의 이슈로 흘러갔다. 문화를 바라보는 시선과 그에 대한 기독교적 대처는 겉으로 볼 때, 문화를 무엇으로 정의하고 또 전쟁을 통해 쟁취할 것인지, 아니면 순응하면서 따라가는 것인지, 배척해야 하는 것인지,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구속적 관점을 반영하던지 하는 반응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그 이면에서는 크게 구속사적 관점과 창조신학적 관점의 맥락에서 달라질 수 있다는 추론을 가능하게 했다. 이는 한국 교회가 안고 있는 한국 문화적 측면의 문제점, 집단주의, 이기주의, 물질주의 등등에 있어서 구속사적 접근은 기독교 윤리에 근거하고, 창조신학은 사회구조적 측면(공공성)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 복음주의는 이 두가지 관점을 어느정도 섞어서 바라보기 때문에 둘 ..
[번역]해외에서 공부하거나 일하는 것이 얼마나 당신을 똑똑하게 만들까? 타문화 경험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 사람에 비하여 융통성있고, 창의적이며, 통합적인 사고를 한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외국에서 일하거나 공부하는 것이 어떻게 당신을 바꾸게 될까? 물론 당신이 귀국할 때, 기억이 담긴 사진 앨범들과 현지의 기념품들을 많이 들고 올 것이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다른 문화 속에서 좀 더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사고 능력을 가지고 보냈던 경험들을 얻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전문적인 영역에서 보자면, 보다 성공적인 존재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것들은 해외에서 공부하거나 일한 경험들이 미치는 영향력들을 조사한 보고서들의 핵심적인 결론이다. 그 한 사례로 INSEAD(프랑스 최고의 MBA)의 조직행동론 부교수인 윌리암 매덕스(William Maddux)는 그의 연구를 통해서..